1. 들어가며 앞서 저희는 로그 추적기라는 부가 기능을 기존 프로젝트에 추가하면서 생길 수 있는 문제점과, 그에 대한 해결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간단하게 그 과정을 복습해볼까요? 프로젝트 전반의 코드에 모두 적용되어야 하지만, 핵심적인 비즈니스 로직이 아닌 '부가 기능'이다.그래서 기존 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용될 수 있으면 좋겠다.그래서 템플릿 메서드 패턴 -> 전략 패턴 -> 프록시 패턴 -> 동적 프록시 및 CGLIB 적용라는 과정을 통해서 기존 코드를 바꾸지 않고, 프록시 클래스도 자동생성을 맡기면서 코드 양도 훨씬 줄일 수 있었습니다.저희가 구현한 기능들은 사실 Spring에서 구현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. 그것이 AOP이고, 오늘은 Spring에서 AOP를 어떤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는지 ..
1. 문제 상황프로젝트에서 에러 로깅을 어떻게 할 지 고민하는 상황이었습니다. 제 프로젝트는 RestControllerAdvice를 통해 예외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. @RestControllerAdvice("생략")public class AttendeeExceptionAdvice { @ExceptionHandler(ActivatedSessionExistsException.class) public ResponseEntity activatedSessionExistsHandler() { return RESPONSE_CONFLICT; } @ExceptionHandler(CourseNotFoundException.class) public ResponseEntity cours..
1. 들어가며 지금까지 RabbitMQ와 Kafka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. 여러 메시지 큐가 있겠지만 그 둘만 다뤘던 이유는, 그 둘이 가장 널리 쓰이기도 하지만 여러 성능 테스트 결과 상반된 경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. 오늘은 실제로 그 둘을 테스트 해보고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, 그리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각각 결과를 살펴보면 각 Message Queue가 어디에 적합할 지 결론에 다다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:) 2. RabbitMQ vs Kafka 오늘 글은 다음 논문, 글들을 참조하여 쓰여졌습니다! 그래프는 모두 R로 작성되었습니다. Dobbelaere, Philippe & Sheykh Esmaili, Kyumars. (2017). Kafka versus Rabbit..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 |
Q
Q
|
---|---|
새 글 쓰기 |
W
W
|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 |
E
E
|
---|---|
댓글 영역으로 이동 |
C
C
|
이 페이지의 URL 복사 |
S
S
|
---|---|
맨 위로 이동 |
T
T
|
티스토리 홈 이동 |
H
H
|
단축키 안내 |
Shift + /
⇧ + /
|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